×

    [주제정리] 동아시아 의학에서 인체 도상

    오장도 & 명당도

    오장도

    인체 내부 묘사

    ┌ 臟腑總圖 : 正伏人臟腑圖 / 側人臟腑圖 └ 臟腑分圖

    초기

    해부 기록 : 靈樞 經水篇

    최초의 해부도 … 북송 慶曆 5년(1045) 歐希范五臟圖 (실전, 13C 일본 頓醫鈔 및 萬安方에 사본으로 전함)

    현존 최초의 것 … 10세기 전반 五代 烟蘿圖 (道藏 소재)

    전환

    12세기 초 宋代 楊介의 存眞圖 (실전) : 이후 중국의 기본 내장도로 사용됨

    → 明堂圖, 脈訣圖, 臟象圖 등으로 분화 발전

    側人臟腑圖

    正伏人臟腑圖와 달리 머리와 背部, 腹部 외벽 등의 외형까지 그림

    元 忽泰의 明堂圖가 효시


    명당도

    기록 상으로는 손진인이 채색된 명당도를 그렸다고 하나 실전 (세칭 “唐代三人明堂圖”)

    元 忽泰의 <金蘭循經>에 臟腑明堂圖ㆍ正人明堂圖ㆍ伏人明堂圖ㆍ側人明堂圖 4가지 수재

    이후 명대 서적들에 영향을 끼침

    ┌ 괘도 형식 : 침방육집, 의학강목, 침구대성, 면학당침구집성 └ 축소 형식 : 의학입문, 침구대성, 유경도익, 의종금감 등


    ※ 의학입문의 明堂仰伏圖 및 臟腑圖는 元 忽泰를 시원으로 하고 있다.

    ref:

    ... ... ... ...
    Back